분류 전체보기(474)
-
생일 축하해
사랑하는 아이엄마의 생일, 정말 축하해 더불어 아내의 연락처를 "고마운사람"으로 바꿨다.
2013.03.06 -
재형저축중 금리가 좋은 곳
관련글[잡다한 이야기] - 절세의 왕 재형저축의 귀환 재형저축의 금리가 각 은행별로 고시되었다.우대금리를 포함해서, 우리은행, 국민은행, 농협은행은 4.5% 이다. 하지만, 기업은행은 이보다 0.1% 더 높은 4.6%이다. 우대금리라는 단서조항이 붙지만, 시중은행중에 이곳이 제일 높지 않을까 싶다. 기본금리는 연 4.3%이고 여기에 우대금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1) 신용카드 사용실적2) 급여이체3) 청약저축 가입여부 등에 따라 우대이율을 0.3% 포인트 까지 적용받을 수 있다. 재형저축 가입 조건이 근로소득 5천만원 이하 근로자이거나 종합소득금액 3천 500만원 이하 개인사업자인 점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세무서나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 홈페이지에서 소득금액 증명자료를 발급받아야 한다.
2013.03.06 -
산에 사는 지렁이
지렁이가 음식쓰레기를 좋은 흙으로 되돌린다는 말을 듣고 지렁이 채집을 하였다.그간 채집한 지렁이가 잘 먹지도 못하고 시름시름 앓다 죽기를 반복,집사람은 그간 잡아다가 죽인 지렁이를 위한 위령제라도 해야 한다고 한다. 음식쓰레기를 너무 많이 주었나 싶어 아주 소량만 넣었다가 최근에는 아예 안주기도 해보았다.번번한 실패에는 나의 무지함에 있었으니, 그간 나의 손에 죽어간 지렁이에게 잠시 묵념을 한다. 음식물을 먹는 지렁이는 빨간줄 지렁이라는 점과크고 힘찬 흰 지렁이는 음식물을 먹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됬다.
2013.03.05 -
아이야 삼일절이 너에게 어떤 날이니
아이야 오늘은 삼일절이야 물론 삼일절이라는 것도 잘 알고 그날이 휴일인 것도 너무 잘 알테지. 그런데 그날이 어떤 날이기에 국가휴일이고 태극기를 게양하는지 알아주었으면 해 삼일절은 나라가 힘이 없어 일본에게 나라를 뺐겼던 날에, 국민모두가 일본에게 평화적으로 저항을 했던 날이야.너에게 저항이라는 말이 좀 어려울까? 흔한 속된말로 말 안듣고 게기는 거라 생각하면 되겠다. 단순히 태극기 휘날리며 만세만 외쳐대는 게김이 뭐 대단한 일일까 생각도 들겠지만 이렇게 생각해봐 우리집에 어떤 사람이 들어와 살더니, 엄마 아빠를 마음대로 부리고, 너의 장난감 모든 행동을 제약한다고 한다면 어떻겠니?왜 그래야 했는지는 묻지 않았으면 좋겠어. 나라가 힘이 없는게 그런 설움이거든. 막 화나지?화나고, 맞서 싸우고 싶지? 그런..
2013.03.01 -
졸업 하던 날
고사리 같은 아이 손을 붙잡고 원에 들여보낼 때가 엊그제 같은데 아이는 이제 3년이 지나 원을 졸업합니다.울지는 않았지만, 엄마와 처음 떠나 낯선 곳을 향하는 버스를 탔던 그 두려운 눈빛을 잊을 수 없습니다.이제 조금 더 큰 울타리를 향해 아이는 졸업이라는 이별의 성장통을 격습니다. 졸업식이 시작하는 국민의례가 자뭇 진지합니다. 축하의 의미로 꽃다발이 아닌 사탕다발을 준비하였습니다. 졸업식이 시작하기 직전에 보여준 아이들의 영상편지 손수 쓴 내용이 각서용으로 좋은 듯 하여 따로 저장해 두었습니다. (나중에 두고두고 협박용으로 보여줄 요량입니다.) 졸업장을 받는 과정에서 학사모가 벗겨졌습니다. 뜻하지 않는 변수에 마음이 속상했던지 눈물을 보였습니다. 선생님이 달래줘도 주책없이 흘려내린 학사모 때문에 눈물이..
2013.02.26 -
절세의 왕 재형저축의 귀환
1976년 서민 상품으로 선을 보여 14~16.5%의 고금리로 사랑받았고 1995년 재원부족으로 폐지된 재형저축(재산형성저축)이 18년 만에 부활 된다는 소식입니다.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70802.html 시행령을 살펴보면 적금, 펀드, 보험등 모든 금융회사가 취급하는 적립식 금융상품으로 7년 이상(최장 10년) 유지하면 이자와 배당소득에 소득의 14%가 면제됩니다.불입한도는 분기별 300만원으로 연간 1200만원입니다.연봉 5000만원 이하의 근로자와 종합소득 3500만원 이하 개인사업자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고금리 못지 않은 '비과세' 혜택이 있는 만큼 초저금리 시대에 재테크 수단으로 유용할 듯 싶습니다.
2013.01.23